대불산단 전선지중화 국비 지원 절실 군, 올해 7개소 0.41㎞ 추진 조선업체 고충 여전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
2013년 05월 31일(금) 09:28 |
대불국가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의 ‘대표 민원(民願)’인 전선지중화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산업단지 관리주체인 군이 열악한 재정여건 속에서도 매년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으나 진척이 더디기만 하는 등 역부족이고, 이 때문에 입주기업인 조선업체들의 고충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군은 지난 5월28일 오후 한국산업단지공단 대불지사에서 2013년도 대불산단 전선지중화 사업 추진계획 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에서 군은 올해 전선지중화를 추진할 대화이엔지(주) 공장입구 등 7개소 0.41㎞에 소요될 사업비 5억3천여만원(부가세 제외)에 대한 산출내역 및 분담비율 등을 설명하고, 기업체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군은 그동안 올해 추진할 전선지중화 사업을 위해 산단 내 입주업체들의 신청을 접수, 한전 영암지사에 사업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올 초 7개소가 대상으로 선정됨에 따라 최근 실시설계를 완료했다. 군은 이에 따라 6월 중 지중화사업 협약체결을 통해 오는 9월 공사에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군이 추진하고 있는 대불산단 전선지중화 사업은 배전선로 지중화는 군이 25%, 한전 50%, 수혜기업 25% 등으로 나눠 사업비를 부담하고 있고, 통신선로 지중화는 군이 25%, 통신업체 50%, 수혜기업 25% 등으로 나눠 부담하고 있어 재정형편이 열악한 군으로서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군 지역경제과 한재진 기업투자지원담당은 “군의 재정여력으로 대불산단 전선지중화 사업을 조기에 마무리하는 것은 역부족인 상황”이라면서 “특히 대불산단 전선지중화는 엄밀하게 한국전력이 추진하고 있는 전선지중화사업과는 거리가 먼데도 기업체들의 물류수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적극 협조해줘 그나마 큰 힘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군은 오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추진할 대불산단 전선지중화 사업물량을 30개소(2014년 20개소, 2015년 이후 10개소)로 잡고 여기에 소요될 총사업비 58억원(2014년 40억원, 2015년 이후 18억원)을 국비 지원해줄 것을 전남도와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의해놓고 있다.
□ 대불산단 전선지중화 사업은?
조선업종 특화 대불산단 입주업체들엔 절박한 과제
MB정부 초기 깜짝 관심사 불구 사업추진 더딘 걸음
당초 전기전자, 자동차부품, 석유화학업종을 유치하기 위한 산업단지로 설계됐으나 조선산업의 호황으로 관련 기업이 대거 입주하면서 발생한 대불산단의 대표적인 기반시설문제다.
대불산단 내부도로나 대불로 상에는 전선 및 통신선로가 지상에서 8∼12m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반면에 입주업체들이 생산한 대형 선박블록의 최대높이는 32m에 이른다. 운송애로는 물론 사고위험까지 상존하고 있어 입주업체들에게는 절박한 과제다.
특히 입주업체들이 대형 선박블록 및 철 구조물을 운송하기 위해 선로를 한번 절단하는데 따른 비용은 500∼600만원이나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돼 전선지중화는 대불산단 입주업체들의 대표 민원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군은 지난 2004년부터 전선지중화에 나서 2007년까지 모두 12개 구간 211개소에 대해 사업비 45억4천만원을 투입해 지중화 했다.
또 2008년에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간사회의에서 강도 높은 규제개혁의 대표적 사례로 ‘대불산단 전봇대’를 언급하면서 전국적인 관심사가 되기도 했고, 2011년까지 10개 구간 44개소에 대해 35억4천800만원이 투입돼 지중화 사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하지만 법적 제도적 지원근거가 미비 되어 있다는 이유로 지중화 관련 사업비의 국비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대불산단 관리주체가 영암군으로 이관되면서 열악한 재정형편인 지자체 사정상 연차적 추진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정부 차원의 특별대책이 절실하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