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농가경영주 고령화율 전국 최고

2002년 43.3%→2012년 58.9% 전국 평균 보다 높아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2013년 06월 14일(금) 10:23
경지, 작물 재배면적·생산량도 감소 ‘곡창’ 옛말
호남통계청, ‘2002∼2012 농업생산 동향’분석자료

최근 10년 동안 전남지역 농가 및 농가인구, 경지면적 등이 급속히 감소하면서 주요 작물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남지역 농가인구와 농가경영주의 고령화율(총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는 등 농촌인구의 고령화 추세가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농가인구 및 고령화율
호남지방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2002∼2012 호남지역 농업생산 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전남지역 농가는 16만4천248가구로 10년 전인 2002년 20만8천190가구보다 4만3천942가구가 줄었다.
같은 기간 농가인구도 52만2천290명에서 37만614명으로 무려 15만1천676명이나 줄었다.
전남지역 농가경영주의 고령화율은 2002년 43.3%에서 2007년 51.9%로 50%대를 돌파한데 이어 2012년에는 58.9%에 달했다. 이는 전국평균은 51.3%보다 무려 7.6% 포인트 더 높은 것이다.
전남지역 농가인구의 고령화율도 2002년 30.6%에서 2012년 42.9%로 높아졌다.
■경지면적 및 작물생산량
전남지역 경지면적은 2002년 32만8천599ha에서 2012년 30만9천4ha로 10년 사이 1만9천595ha 줄었다. 논은 22만771ha에서 19만789ha로 2만9천982ha, 밭은 10만7천828ha에서 11만8천215ha로 1만387ha가 각각 줄었다.
경지면적 감소요인은 도로, 철도 등의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산업단지 조성 등이다.
농업인구가 줄고 고령화 추세에 있는데다 경지면적 또한 줄어들면서 주요 작물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도 급감했다.
논벼는 20만2천925ha에서 17만1천872ha로 줄면서 생산량은 89만3천742톤에서 69만8천93톤으로 감소했고, 밭벼는 1만42ha에서 1천411ha로 급감해 생산량은 2만5천334톤에서 2천312톤으로 격감했다.
겉보리 재배면적은 1ha에서 187ha로 늘어 생산량 역시 2톤에서 250톤으로 늘어난 반면 맥주보리는 2만1천127ha에서 2천703ha로 재배면적이 줄면서 생산량 또한 6만423톤에서 7천283톤으로 감소했고, 쌀보리도 2만4천272ha에서 3천924ha로 줄어 생산량은 6만437톤에서 8천918톤으로 급감했다.
콩은 1만9천760ha에서 1만4천39ha로 줄며 생산량은 3만1천23톤에서 1만6천36톤으로 감소했고, 봄감자는 1천905ha에서 2천51ha로 늘었으나 생산량은 5만1천721톤에서 4만6천35톤으로 줄었다.
마늘은 1만3천963ha에서 9천115ha로 재배면적이 줄어 생산량은 17만488톤에서 9만7천383톤으로 감소한 반면, 양파는 7천435ha에서 1만715ha로 늘어 생산량도 44만6천844톤에서 58만2천994톤으로 증가했다.
이밖에 건고추는 1만1천69ha에서 8천110ha로 재배면적이 줄어 생산량 역시 3만2천798톤에서 1만8천580톤으로 감소했다.
가을배추는 1천576ha에서 2천937ha로 재배면적이 늘어 생산량은 16만2천564톤에서 31만311톤으로 증가한 반면, 가을무는 1천846ha에서 1천196ha로 재배면적이 줄어 생산량도 12만9천844톤에서 9만5천747톤으로 감소했다.
참깨는 1만3천751ha에서 8천204ha로 줄어 생산량도 7천701톤에서 2천190톤으로 감소했다.
사과 재배면적은 231ha에서 273ha로 늘어난 반면 배 재배면적은 4천453ha에서 3천638ha로 줄었으며 생산량은 사과의 경우 3천2톤에서 1천737톤, 배는 7만8천243톤에서 2만6천801톤으로 각각 감소했다.
■영농규모
전남지역 농가 16만4천248가구 가운데 경지가 없는 농가는 1천481가구였다.
또 경지가 있는 16만2천767가구 가운데는 영농규모가 0.3∼0.5ha 미만인 가구가 가장 많아 모두 2만6천855가구에 달했다. 또 2만418가구는 0.1∼0.2ha 미만이었고, 2만264가구는 0.7∼1ha 미만이었다.
반면 10ha이상 대농은 2천211가구였으며, 7.0∼10ha 미만은 2천520가구, 5.0∼7.0ha 미만은 4천125가구, 3.0∼5.0ha 미만은 1만2가구였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이 기사는 영암군민신문 홈페이지(www.yanews.net)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yanews.net/article.php?aid=1149943261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9일 03:0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