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계획 반드시 기록하고 보관하자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
2013년 12월 27일(금) 22:32 |
![]() |
영암미암출신
글로벌인재학교 교감
시조시인
해마다 이맘때 쯤 되면 사람들은 수첩과 다이어리 등을 선물하거나 구매하면서 자신의 한 해 계획을 세운다.
보통 신년 계획을 떠올리면 성인 남자의 경우는 ‘금연’을, 성인 여성의 경우는 ‘다이어트’를 떠올리곤 한다. 그리고 남자들은 금연보조제를 구입하고 여성들은 스포츠센터 접수를 하는 게 순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년 계획은 대개 3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실패로 끝나기 마련이다.
무엇이 문제일까? 문제는 ‘망각’이라는 인간의 습성과 ‘게으름’ 방해꾼 때문이다.
그렇다면 망각과 게으름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사람들은 망각과 게으름을 막는 최고의 친구는 ‘기록’이라고 말한다.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해 ‘적자생존(적는 자(者)가 생존(生存)한다)’이라는 신조어도 나오지 않았는가 말이다.
지난 2007년에는 기록이 가진 신기한 힘에 대해 얘기한 SECRET(수세기 동안 단 1%만이 알았던 부와 성공의 비밀)이라는 책이 불티나게 팔렸다. 그 책에서는 전 세계 인구의 1퍼센트밖에 안 되는 사람들이 전 세계 돈의 96퍼센트를 벌어들이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부자가 된 사람들은 자신들의 마음을 ‘부’가 차지했고 ‘부’에 대한 이들의 생각이 그 사람들에게 부를 끌어당기게 했다고 말했다. 이를 ‘끌어당김의 법칙’이라고 말하며 늘 잘 될 것을 생각하고 기록할 것을 강조했다. 이 이론이 절대적 진리는 아니지만 보통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은 무언가 기록을 잘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사람뿐만 아니다. 국가도 궤를 같이 한다.
조선이 500년 왕조를 이어온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말이다. 유네스코에서 조사를 했는데 왕의 옆에서 사관이 일과를 기록하고 그날 저녁에 정서해서 왕이 죽으면 한 달 이내에 출판 준비에 들어가서 만들어낸 역사서가 있는지 보니까 전 세계에 조선만이 이러한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즉 조선왕조가 500년을 이어온 것은 기록을 통해 합리적인 문화를 도출해 냈고 이에 국민들이 순응하며 살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조선시대와 비슷한 시기에 전 세계에서 500년 간 왕조는 실제로 하나도 없다. 유럽에서 신성로마제국이 1,200년째, 오스만투르크가 600년째 이어졌으나 두 나라는 제국이었고 500년을 간 에스파냐 왕국은 하나의 왕족이 500년을 지배한 것은 아니었다.)
이제 신년 계획을 세우는 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들어가 보자. 성공한 사람들은 신년 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기록하고 보관할 것을 강조하는데 그 조건으로 첫째, 이루고 싶은 목표를 구체적으로 적으라고 말한다. 또 일 년 후 그 일이 이뤄졌는지 체크할 수 있도록 하라고 한다. 둘째, 목표의 수준을 정해야 한다. 너무 쉽지 않고 또한 너무 무리가 되지 않는 적정 수준의 목표라야 흥미를 잃지 않고 오래 지속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셋째, 자주 확인해야 한다. 사람은 날마다 들어오는 새 정보에 의해 신년 목표도 잊게 마련이다. 그럴 때마다 신년계획을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두고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와 비슷한 의견으로 ‘SMART 공식’이라는 것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Specific (구체적이고), Measurable(측정할 수 있고), Appropriate (적절해야 하며),Realistic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해야 하며) Time-related (시간 제한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목표가 정해지면 실천이 중요한데 신년계획에는 늘 ‘작심삼일’이라는 동반자가 있기 마련이다. 이때는 그 작심삼일을 자주 반복해주면 된다. 작심삼일도 반복되면 1년중 상당한 기간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그리고, 그렇게 작성한 신년계획을 1년이 지나면 버리지 말고 당시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서 해마다 달라지는 자신의 모습과 함께 신년 계획을 앨범에 남기면 자신의 성장 스토리가 역사처럼 이어지게 된다. 신년계획이 나중에는 가족의 역사가 된다는 놀라운 사실. 재미있지 않은가?
지금 당장 백지 한 장을 들고 신년계획을 세워보자.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