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소멸 고위험군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2025년 05월 22일(목) 14:04
한국청년위원회 이사 석성민
전라남도의 인구는 지난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2013년 약 190만 명이던 인구는 2023년에는 약 181만 명으로 줄어 10년 사이에 약 9만 명의 인구가 감소했고, 2024년 현재는 약 179만 명으로 매년 약 1~2만 명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각 시·군별 인구 변화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고 있고, 특히 일부 군 지역은 소멸단계에 처해 있다.


대표적인 ‘지방소멸 고위험군’ 지역은?

구례군: 2004년 3만 명에서 2025년 2만 4천 명으로 감소, 노인 인구 비율은 37%

곡성군: 2004년 3만 4천 명에서 2025년 2만 7천 명으로 감소, 노인 인구 비율은 39%

보성군: 2004년 5만 4천 명에서 2025년 3만 7천 명으로 감소, 노인 인구 비율은 41%

고흥군: 2004년 8만 6천 명에서 2025년 6만1천 명으로 감소, 노인 인구 비율은 43%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은?

원초적인 원인으로는 일자리 부족과 교육 기회의 제한,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한 지역에서의 경제적 기회 제한 등으로 청년층은 선택이 아닌 필연적으로 대도시를 선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비단, 청년층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더 나은 환경을 찾아 보다 더 큰 도시로 이주하고 있는 기존 주민들까지 늘어나면서 인구감소 추세 속도가 상당히 빨라지며 결국, 평생을 살아온 노인들만이 남아 고령화 도시, 다시 지방 소멸 고위험군 지역으로 이어지는 속도마저 덩달아 빨라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남의 청년 비율은 21.6%로 전국 최하위이며,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매우 낮은 지자체가 되었다.



지자체는 팔짱만 끼고 관망만 하나?

전라남도는 인구 감소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중이며, 인구 감소에 대한 여러 대책들을 강구중이며,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중이다.

지난 해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원년’으로 삼고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감소 대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전라남도 인구정책 5대 추진방향으로 △318 출생수당, 난임 수술비 지원 등 ‘가족’사업, △문화콘텐츠(K-디즈니) 기회발전특구 등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기회’사업,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인프라를 구축하는 ‘안착’사업, △생활인구 유입을 활성화하는 ‘유입’사업, △외국인 이민과 출입국·이민관리청 유치 등이 주축인 ‘공존’사업이다.

출산 장려에서부터 주거 지원, 일자리 창출과 관광 인프라 구축 등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동원해 진액만을 골라 현실적 정책에 녹여내고 있다.



상승한곳은 없는가?

인구 감소의 주요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당연지사 인구가 늘거나 위험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정체를 보이는 곳도 있으며, 대표적인 도시로는 아래와 같다.

여수시: 2004년 28만 명에서 26만 7천 명으로 감소세 둔화, 노인 인구 비율22.9%

광양시: 2005년 14만 명에서 2025년 15만 5천 명으로 1만 5천명 증가, 노인 인구 비율16.2%

나주시: 2004년 10만 명(추정)에서 2025년 11만 7천 명으로 1만 7천명 증가, 노인 인구 비율24.7%​

화순군: 2004년 6만 5천명에서 2025년 6만 명 감소세 둔화, 노인 인구 비율31%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은?

앞서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의 원초적인 원인’을 반대로 해소할 수 있다는 이유가 가장 크다. 전남지역에서 유일하게 인구 증가세인 광양시와 나주시의 섹터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등 대기업 산업단지가 있어 많은 광양시의 경우 넉넉한 일자리와 더불어 다양한 주거지 개발과 청년층을 위한 주택 지원 정책 강화. 적극적인 산업단지 확장과 기업 유치 등이 있으며, 나주시 또한 정부 기관 및 공공기관의 이전으로 일자리 증가, 지방 정부의 주요 기관들의 이전, 에너지 산업 및 농업 관련 사업의 확장 등이 있다. 관광 인프라 중심 여수와 농업·관광 중심 화순군 또한 인구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유입과 감소가 꾸준히 교차하면서 유출이 앞도적인 여타의 타 시·군에 비해 감소세가 둔화라는 것일 뿐, 고령화, 지방 소멸 문제 앞에 결코 안정적이라 평가할 수 없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이 기사는 영암군민신문 홈페이지(www.yanews.net)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yanews.net/article.php?aid=4359559475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24일 00: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