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은 국민들을 나누고 국민을 차별하거나 지지하지 않는다고 따돌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는 역사적으로 보기 드문 사회적 위기와 불안을 맞이하고 있다. 극단의 2개의 목소리가 각자의 길을 가고 있는 듯 보인다. 이념적으로는 보이는 보수라는 목소리와 중도 및 진보라는 목소리가 대선을 매개로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듯 하다. 아니면 그렇게 국민을 편가르기 하는지도 모른다.
경제적으로는 극소수의 부유층과 무너진 중산층이 대립하고 재벌그룹과 골목 및 재래상인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를 우리는 ‘경제적 양극화’라 표현하기도 한다. 지역적으로는 뿌리 깊은 호남과 영남이, 연령적으로는 50대 이상과 40대 이하 세대가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유력한 두 후보 지지자들은 세대·계층·지역·이념으로 뚜렷하게 갈렸다. 대한민국이 두 정파(政派)가 대표하는 두 나라로 쫙 갈린 것이다.
현대의 다원화 된 사회에서 다양한 의사표현 그 자체는 결코 우려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감정적인 극단적 대립으로 이어 질 때는 사회불안과 갈등의 원인이 된다. 이승만 정권에서 지역 갈등은 없었다. 하지만 이념적 갈등이 사회불안의 원인이 되고 비극적 사상대결로 이어졌다.
박정희 정권의 집권과정에서 독재와 지역 이기주의가 심화하면서 대구 경북 중심에서 부산 경남으로까지 넓혀지고 소위 경상도 지역 패권으로 확대 강화 되었다. 지역갈등의 시작이었다. 지역개발과 산업화에 과정에서 일부 기업인에 이권을 보장해주고 수뢰하며 개발정보로 폭리를 챙기게 했다. 이런 막대한 불노소득이 누대를 세습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각 분야에서 기득권을 챙기고 우월을 누리는 경제적 양극화가 시작되었다.
이런 사회갈등이 표면화되면서 이번 대선에서 유력 후보들은 위기에 처한 경제를 반드시 살리고 사회 화합과 국민통합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매일 목소리를 높였다. 역대 모든 대통령 후보가 선거운동 기간과 당선 직후 여야를 넘어선 초당적(超黨的) 국정 운영을 다짐했으나 이뤄진 적이 없다. 대선에서 승리한 측이 패자(敗者)를 통합을 위한 진정한 파트너로 여기지 않고 구색 갖추기 용으로 이용만 하려 한다는 의구심을 풀어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민통합이라는 게 결코 쉬운게 아니다. 어느 한 특정집단이나 가치를 중심으로 모든 국민이 뭉치는 것을 통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잘못된 것이다. 그건 통합이 아니라 동원이다. 유신체제가 그랬다.
분열된 국민을 통합하려면 선거에서 승리를 쟁취한 것보다 더 결연한 각오와 행동이 필요하다. 국민 통합이 먼저 실현돼야 자신의 정책도 실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새 대통령은 먼저 국민 대단합과 대탕평에 자신 이상으로 결연한 의지와 실천력을 가진 사람들을 주위에 불러 모아야 한다. 역대 대통령이 국민 통합에 실패하고 결국은 실패한 정권이란 도장을 스스로 이마에 찍어야 했던 것은 주변 인물들이 정권을 전리품으로 착각하고 자기들의 구연(舊緣)을 좇아 나눠 갖는 데 골몰했기 때문이다. 오늘 새 대통령 당선자의 첫날은 대통령 당선자가 국민과 소통을 통해 두 개로 쪼개진 나라를 다시 하나로 만드는 첫발을 내딛는 날이 되어야 한다. 다양한 생각은 존중하되, 작은 차이를 넘어 커다란 조화를 이뤄야 선진일류국가로의 도약이 가능 하다는게 우리 사회를 걱정하는 원로들의 통일된 의견이다. 또한 통합은 약자에게 인내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강자에게 양보를 요구해야 이뤄질 수 있다. 나눔과 상생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누가 승리하든 패자(敗者)를 끌어안아 선거 과정의 극단적 분열을 치유하는 통합의 지도자가 되길 바란다. (crose@db.ac.kr)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