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읍 인구 늘리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영암읍 인구 늘리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영암읍이 올해 인구 1만명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정훈 영암읍장이 지난 1월21일 열린 군청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군청 소재지이자 영암의 중심도시인 영암읍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어 올해 1만명을 목표로 영암읍 인구 늘리기를 중점 추진하겠다.”고 보고한 것이다. 이 읍장이 새해 벽두 영암읍 인구 늘리기를 핵심시책으로 보고하고 나선 데는 절박한 이유가 있다. 2012년 말 현재 영암읍 인구는 9천147명이다. 1990년 1만2천599명이던 영암읍 인구는 10년 뒤인 2000년 1만947명으로 줄었고, 2006년 1만14명으로 1만명 선을 겨우 유지하다 2007년 9천938명으로 1만 인구가 붕괴됐다. 또 2010년에는 9천550명으로 떨어졌다. 영암읍 인구가 이처럼 줄어든 것은 군청 소재지이자 영암의 중심도시이면서도 삼호읍 등 서부권에 비해 별다른 산업기반이 없는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어 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녀들의 교육문제 등으로 주소지를 광주 등 인근 대도시로 옮기는 군민들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국립공원 월출산이라는 천혜의 관광자원을 갖고 있으면서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관광정책도 인구급감에 한 몫을 했다고 보아야 한다. 우리가 눈으로 목도하는 영암읍 지역경제의 실상 역시 거의 아사직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전 같으면 불야성을 이루곤 했던 주말과 휴일 영암읍 시가지가 해가 지기 무섭게 어둠에 잠기는 실상이 그것이다. 영암읍사무소가 인구 늘리기를 중점과제로 선택한 것은 지당한 일이다. 하지만 이는 영암읍사무소만의 일이어선 감당하기 어려운 과제다. 군 차원에서 적극 나서야할 절박한 현안이라고 보아야 한다. 무엇보다 군이 계획한 영암농공단지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 식품산업으로 특화된 농공단지인 만큼 부가가치효과는 물론 고용효과가 클 것이기 때문이다. 읍민들의 자발적인 노력도 절실하다. 지금처럼 불법주정차나 쓰레기 불법투기 등 무질서가 판치는 곳이어서는 아무리 절박한 투자자라도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 영암읍 인구 늘리기가 군과 읍사무소, 군민과 읍민들이 하나 된 운동으로 추진되길 바란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