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불산단 産災 사고 다발 불명예 씻으려면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대불산단 産災 사고 다발 불명예 씻으려면

‘영암테크노폴리스’로 부르는 대불국가산업단지에서 최근 2개월 동안 산업재해로 노동자 3명이 숨졌다. 지난해에도 모두 12명의 노동자가 각종 사고로 목숨을 잃어 최근 1년6개월 사이 무려 15명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정도면 대불산단은 산업재해 다발 국가산단이라는 오명이 더 어울린다.
대불산단에서 발생한 산재 사망사고를 들춰보면 ‘안전 불감증’이 산단 내 전체 입주업체에 만연되어 있는 듯하다. 가장 최근인 5월17일 S중공업에서는 10t 가량의 선박구조물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선박구조물 아래를 지나던 노동자 1명이 숨지고, 함께 일하던 두 명의 근로자가 크게 다쳤다. 지난달 30일 인근 조선업체에서 발생한 사고 역시 선박 블록에 깔려 작업 중이던 노동자 1명이 숨지는 사고였고, 지난달 6일 다른 조선업체에서 발생한 사고 역시 노동자 1명이 철판 사이에 끼여 목숨을 잃는 식이었다.
영암노동상담소는 대불산단을 비롯한 영암지역 선박 건조업과 제조업체에서 지난해 모두 23명의 노동자가 각종 산업재해로 숨진 것으로 집계했다. 2011년 14명, 2010년 24명 등 3년 동안 무려 61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는 집계도 있다. 특히 산재사고 희생자의 절반 이상이 대불산단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이니 관계당국은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보아야 한다.
우선 대불산단에서 사망사고가 빈발하는 주된 원인인 다단계 하도급 관행부터 개선해야 한다. 때마침 진보정의당 전남도당은 형식적인 현장안전교육과 재해관리감독에 대한 미흡, 책임자와 사업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다단계하도급과 생산만 채근하는 현장문화를 시급히 개선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대책이 시급한 과제들이다. 특히 대불산단이 산재 다발 공단의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가 및 관련 단체 인사가 참여하는 위험성 평가도 빨리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 바이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