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대망론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충청 대망론

새누리당의 충청권 의원 28명이 국회의원 의석수에 관한 헌법소원을 냈다. 정우택 최고위원이 대표로 낸 헌법소원은 현재 국회의원 의석수의 위헌여부를 가려달라는 내용이다. 올해 충청 인구(526만명)가 호남 인구(525만명)를 앞섰음에도 국회의원 의석수에서는 충청(25석)이 호남(30석)보다 5석이 적은 것은 헌법의 평등권과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는 만큼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정 최고위원은 이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서는 “충청권 표가 홀대받고 있어 선거구 조정이 필요하다”면서 “표의 등가성과 형평성 부분을 짚다 보니 호남 인구를 예로 들었는데 이는 호남 의석수를 줄이자는 것은 아니다”고 단서를 달긴 했다.
정 최고위원의 헌법소원은 단순히 선거구를 늘리는 문제일 뿐 아니라 소위 ‘충청 대망론’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영호남 중심의 권력구도를 충청권이 깨보자는 것이다. 따라서 충청 출신 의원들의 요구는 여야가 한목소리다. 새누리당에서는 서청원, 이인제, 이완구, 정우택 의원 등이 있고, 민주당에서는 이해찬 의원과 안희정 충남지사가 있다. 특히 이완구, 이해찬 의원은 세종시 지원을 매개로 한 목소리를 낸다. 이런 분위기 속에는 다음 대선 때는 충청권이 대권을 잡자는 기류도 흐른다. 실제 여권 핵심부에서는 충북 음성 출신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권에서는 안희정 지사가 거론된다. 당권이나 국회의장 경쟁에서도 충청권 출신들은 줄곧 전면에 나서고 있다.
충청 대망론이 우리 정치의 중대흐름이 될지 아직은 미지수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이 있다. 바로 갈수록 위축되어가는 호남 역할론이다. 민주당 강기정 의원이 의석수 헌법소원에 대해 새누리당의 패권적 발상이고, 호남의 정치력을 재차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숨어있다고 지적한 것도 그 연장선에 있다. 인구뿐 아니라 거의 모든 부문에서 ‘소수’로 전락해가는 호남은 더욱 소외될 가능성이 크다. 호남이라는 정치적 기반에 안주해온 야당의 존립 또한 위태로워 보임은 물론이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