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전국동시지방선거 D-6개월
검색 입력폼
 
자치/행정

2014 전국동시지방선거 D-6개월

출처불명 여론조사 난무 아전인수식 전방위 유포 횡행

유권자 의식수준 향상 불구 일부 후보자들 ‘구태’여전
정당공천제, 안철수 신당 등 변수 속 선거정국 본격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12월4일로 꼭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2014년6월4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는 세종자치특별시장을 포함한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761명(세종시의원 13명 별도), 기초의원 2천888명, 교육감 17명을 동시에 선출한다.
‘6·4 지방선거’는 정치적으로 박근혜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고 있음은 물론 그 결과는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을 바라보는 민심의 가늠자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여야는 모두 사활을 건 대결에 나설 태세다.
영암지역에서도 이번 지방선거는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3선 도전이 확실시되는 김일태 군수의 아성에 자천타천 무려 4∼5명의 입지자들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무투표 당선자를 내곤 했던 영암군의원 선거마저도 선거구가 합쳐지고 의석수가 줄어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여기에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존폐여부와 안철수 신당의 파괴력 여부 등은 선거 판도를 좌우할 큰 변수로 꼽힌다. <관련기사 3면>
특히 지방선거를 6개월 앞둔 현재 영암지역에서는 출처불명의 여론조사가 부쩍 잦아지고 있다. 심각한 민심왜곡은 물론 선거분위기 조기과열까지 부추기고 있다는 여론이어서 관계당국의 대응이 절실하다.
지역 유권자들에 따르면 최근 들어 서울 소재 여론조사기관이라고만 밝힌 전화 자동응답장치(ARS)를 활용한 여론조사가 서너 차례 계속되고 있다. 이들 여론조사는 주로 군수선거 출마예정자들에 대해 적합도나 지지도를 묻는 것이다. ARS방식의 설문내용만으로도 어느 후보가 실시하는 여론조사인지 금방 점쳐볼 수 있을 정도다. 또 일부 후보자는 아예 특정 정당의 공천을 염두에 둔 여론조사까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이들 여론조사 대부분이 불·탈법인데다, 후보자들이 여론조사결과를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해 측근 등을 활용, 전방위적으로 유포하면서 민심왜곡과 함께 선거분위기를 조기과열 시키는 등의 부작용까지 낳고 있다는 점이다.
바뀐 공직선거법에는 ‘선거에 관하여 정당에 대한 지지도나 당선인을 예상하게 하는 여론조사(공표, 보도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여론조사 포함)를 실시하려면 여론조사의 목적, 표본의 크기, 조사지역·일시·방법, 전체 설문내용 등을 서면으로 여론조사개시일 전 2일까지 해당 선거구선관위에 신고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다.
또 여론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짐작되는 특정후보들의 경우 그 결과를 이용해 너도나도 자신이 1위 후보를 “거의 따라잡았다”거나 “추월했다”는 식의 소문을 비공식적으로 유포하고 있다. 더구나 이들 후보의 지지자들 사이에는 그 결과물이 휴대폰 문자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면서 유권자들로 하여금 착시현상을 일으키게 만들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일부 후보자들이 실시하고 있는 자체 여론조사의 주된 목적은 자신들의 경쟁력을 알아보자는 목적도 있겠지만 잦은 조사를 통해 인지도와 지명도를 높이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문제는 이들 여론조사가 공직선거법상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고, 그야말로 특정 후보자를 위한 결과물을 얻기 위한 여론조사로 전락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라고 우려했다.
출처불명의 여론조사가 난무하면서 유권자인 군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군민 A씨는 “최근 들어 2,3일에 한번 꼴로 ARS방식의 여론조사용 전화를 받은 것 같다”면서 “선거일까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있고, 후보자가 누구인지 확정도 되지 않은 마당에 답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 모두 그냥 끊었다”고 말했다.
군민 B씨는 “ARS전화는 주로 일과시간이 끝난 뒤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에 걸려오는 경우가 많아 생활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면서 “누가 실시하는 여론조사인지 밝히지도 않을뿐더러 묻는 방법이나 내용에서 금방 특정 후보자를 염두에 둔 것임을 알 수 있을 정도여서 불쾌하기까지 했다”고 토로했다.
군민 C씨는 “대다수 유권자들의 의식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후보자들의 행태는 여전히 구시대적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선관위나 경찰 등에서 불탈법 여론조사에 대해 강력하게 단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