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 전면시행 보완대책 세우라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도로명주소 전면시행 보완대책 세우라

새 주소체계인 도로명주소가 2014년부터 전면 사용된다. 도로명주소는 2011년7월29일 전국 일제고시를 통해 법정주소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주민들이 익숙하지 않은데다, 사용 빈도 또한 현저하게 낮아 지번주소와 병행해 함께 쓸 수 있는 기간을 2013년12월31일까지 연장한 바 있다. 바로 이 연장기한이 이제 끝난 것이다. 내년 1월1일부터 도로명주소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군은 그동안 군민들이 이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많은 홍보노력을 펼쳤다. 어르신들의 눈높이에 맞춰 홍보문안을 삽입한 ‘효자손’을 배부하기도 했고, 안내도 5천부를 마을회관 등에 비치해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군은 또 많은 원룸, 다가구주택 등 건물소유자 1천42명에게 ‘상세주소 부여 신청 안내문’을 제작해 신청서와 함께 우편발송하기도 했다. 소유자 또는 임차인의 신청을 받아 현장 확인 등의 절차를 거쳐 상세주소를 부여해 도로명주소대장에 동, 층, 호 현황을 등록해 관리하기위해서다. 하지만 군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은 대부분 “아무리 외우려고 애써도 어렵다”거나 “도무지 낯설고 이상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도로명주소는 기존 마을이름 대신 새로 지어진 거리이름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있다. 이 때문에 같은 마을에 살던 주민들의 주소가 달라지는 곳도 많다. 조상대대로 이어온 마을단위 공동체문화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심지어는 2,200년 전통을 지닌 구림마을조차도 고산길, 구림로, 도갑사로, 돌정고개길, 왕인로, 학암길 등 듣도 보도 못한 주소로 바뀐다. 수 천 년 이어온 공동체문화까지 없어질 위기에 있는 것이다. 주민들이 낯설고 이상하다고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재검토 여론이 아직도 거세다. 기존 마을이름과 새 주소를 병행사용 해야 한다는 여론도 비등하다. 정부가 무조건 밀어붙일 일이 아니라 귀담아 듣고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