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또 많은 원룸, 다가구주택 등 건물소유자 1천42명에게 ‘상세주소 부여 신청 안내문’을 제작해 신청서와 함께 우편발송하기도 했다. 소유자 또는 임차인의 신청을 받아 현장 확인 등의 절차를 거쳐 상세주소를 부여해 도로명주소대장에 동, 층, 호 현황을 등록해 관리하기위해서다. 하지만 군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은 대부분 “아무리 외우려고 애써도 어렵다”거나 “도무지 낯설고 이상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도로명주소는 기존 마을이름 대신 새로 지어진 거리이름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있다. 이 때문에 같은 마을에 살던 주민들의 주소가 달라지는 곳도 많다. 조상대대로 이어온 마을단위 공동체문화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심지어는 2,200년 전통을 지닌 구림마을조차도 고산길, 구림로, 도갑사로, 돌정고개길, 왕인로, 학암길 등 듣도 보도 못한 주소로 바뀐다. 수 천 년 이어온 공동체문화까지 없어질 위기에 있는 것이다. 주민들이 낯설고 이상하다고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재검토 여론이 아직도 거세다. 기존 마을이름과 새 주소를 병행사용 해야 한다는 여론도 비등하다. 정부가 무조건 밀어붙일 일이 아니라 귀담아 듣고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