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화된 6·4 지방선거 정책대결 펼쳐야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본격화된 6·4 지방선거 정책대결 펼쳐야

6·4 지방선거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3월23일부터 영암군수와 영암군의원 예비후보등록이 시작되면서 선거구도도 그 모습을 드러냈다. 특히 당초 2014 왕인문화축제가 끝난 뒤 예비후보로 등록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김일태 군수도 지난 3월28일 출마선언을 위한 기자회견을 가진 뒤 4월2일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로서 김 군수는 영암군수의 직위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직무는 수행할 수 없고 부군수가 이를 대신하게 된다. 김 군수는 자신의 3선 도전과 관련된 온갖 악성루머를 불식하고, 각종 행사참여에 따른 공직자들의 정치적 중립의무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예비후보등록을 앞당겼다고 한다. 3선 도전이 명약관화한 마당에 등록을 차일피일 할 필요는 없었다는 점에서 용기 있는 결정이었다고 본다.
6·4 지방선거 영암군수선거는 김 군수를 비롯해 강우석 전남도의원, 김재원 세한대 교수, 전동평 전 알파중공업 대표, 최영열 전 전남도 종합민원실장 등이 겨루는 5자구도로 치러질 공산이 크다.
기초단위 정당공천제이 없어지면서 역대 선거 가운데 가장 치열한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이번 선거는 조기과열의 우려나 극심한 상호비방 등으로 인해 혼탁해질 가능성이 크다. 사정당국의 철저한 감시도 그만큼 중요해졌지만 무엇보다 후보자들 스스로 공명정대하게 경쟁에 임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 첫 번째는 정책대결일 것이다. 영암의 미래와 영암군의 발전을 위한 세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유권자인 군민들이 이를 비교평가 해 심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후보 모두 메니페스토운동에의 동참을 권한다.
6·4 지방선거 영암군의원선거 역시 선거구마다 3∼4배수 후보자들이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무엇보다 각 선거구가 읍면단위로 묶다보니 각 후보별 출신읍면 간의 세 대결 양상이 벌어지고 있는 점은 우려스럽다. 심지어 한 읍면에 여러 후보가 나오다보니 지역분열의 우려도 나온다. 우리 지역의 일꾼을 뽑는 일이다보니 당연히 우려 지역 출신을 선호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후보자가 함량미달인데도 무조건 표를 던져서는 지역의 미래만 암울할 분이다. 이런 점에서 영암군의원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 역시 정책대결이 필요하다. 마을 안길이나 포장하겠다는 식의 선심성 공약을 내세우라는 얘기가 아니다. 진정 읍·면민들을 위해 필요한 군정정책은 무엇인지, 읍·면 발전을 위한 숙제는 무엇인지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