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이에 따라 총 사업비 120억여원이 투입될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타당성조사용역이 완료됨에 따라 전남도 지방재정투자심사 등 행정절차 이행에 들어갔다.
특히 총사업비 가운데 목포도시가스 부담을 뺀 100억원이 넘는 재정 부담을 감안해 정부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전남도와 협의에 나서는 한편 국비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8면>
또 최근 영암지역구의 우승희 전남도의원이 대표발의 한 '전라남도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 지원 조례안'이 지난 4월 말 의회를 통과해 도시가스 미 공급지역의 가스공급을 위한 도비 지원의 제도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어떤 규모이든 국·도비 지원은 가능할 전망이어서 최대 숙원인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이 해결점을 찾게 됐다.
군은 지난 5월 18일 오전 군청 낭산실에서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사업 타당성조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용역결과 우리나라 도시가스 보급률은 84.3%인 반면, 전남지역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49.21%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고, 영암군은 삼호읍을 제외한 지역이 도시가스 미 공급지역인데다, 영암읍은 제13차 천연가스 장기수급계획에 도시가스 공급계획이 없는 상태로 언제 도시가스가 공급될지 기약조차 없는 상황이다.
영암읍의 도시가스 수요량은 연간 570만㎥로, 목포도시가스 공급량의 약 5%에 해당하는 가스양으로 추정됐다. 또 도시가스 공급에 따른 수용가는 2천800여세대로 예상됐으며, 이 세대가 모두 도시가스로 전환할 경우 연간 29억여원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 사업비는 주배관(중압배관) 공사 87억8천402만3천원, 공급관(저압배관) 공사 39억1천596만7천원 등 모두 126억9천여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됐다. 수용가 분담금은 18억1천여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른 경제성 분석결과 준공 후 12년 차에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며, 이후에는 지속적인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순 현재가치(127억900만원)와 편익/비용비율(1.879), 내부수익률(IRR 6.089%) 등에서 모두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등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군은 이 같은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사업 타당성조사용역 결과에 따라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영암읍 도시가스 공급사업은 올해부터 2022년 말까지 총사업비 120억여원을 투입해 삼호읍 세한대학교에서 영암읍까지 지역정압기 1개소와 도시가스 배관 33.3㎞(150A 주배관 23.5㎞, 315A 배관 3.5㎞, 160A 배관 6.3㎞)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 가운데 20억여원은 사업자인 목포도시가스㈜ 부담이다.
군은 나머지 100억여원의 사업비 가운데 80억여원을 국·도비로 확보하기 위해 전남도 지방재정투자심사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는 한편, 정부 관련 부처와 전남도 등을 방문해 군비 부담 최소화를 위한 국·도비 지원을 지속적으로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군은 특히 전남도내 도시가스 미 공급지역의 가스공급을 위한 도시가스 설치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국·도비 지원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전남도의회 우승희 의원(영암1·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 한 '전라남도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 지원 조례안'은 지난 4월 23일 전남도의회 제340회 임시회 해당 상임위 심사에서 원안 통과된데 이어 28일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이 조례는 도시가스 미 공급지역에 대한 지원계획을 전남도가 매년 수립해 시행하도록록 하고, 공급배관 등 설치비와 수용가부담 시설분담금에 대한 전남도 예산 지원 근거를 규정하고 있다.
우승희 의원은 "전남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전국 평균 83.1%에 훨씬 못 미치는 49.2%에 불과하다. 주민들의 연료비 부담 경감과 주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조례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도시화율이 높은 서울, 광주 등 일부 광역지자체가 오래전부터 관련 조례를 제정해 도시가스 설치 지원을 뒷받침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