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황주홍 후보의 당선으로 의원 9명 중 8명(1명은 최병찬 의원으로 입원 중임)이 민주통합당 소속인 영암군의회의 속내가 복잡해졌다. 박영배 의장과 김연일 부의장, 김영봉 운영위원장, 김점중 경제건설위원장, 그리고 유호진 의원 등 5명이 선거운동 기간 드러내놓고 무소속 유인학 후보를 지지하고 다녔기 때문이다.
민주통합당 소속 다른 두 의원인 김철호 의원은 황 당선자의 연설원으로, 비례대표인 유영란 의원은 각종 행사에 적극 참여하는 형식으로 자당 소속 후보를 지원했다. 이보라미 자치행정위원장은 통합진보당 박형기 후보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지원했다.
일단 선거가 끝난 지금 예상은 영암군의회의 위상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 같다. 황 당선자가 본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삼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황 당선자는 “선거운동 기간 중 중앙당으로부터 해당행위를 한 당원에 대해 보고하라는 지침이 있었다. 해당행위가 확인이 되면 출당조치를 취하겠다는 취지였다. 우리 지역에서 몇몇 분들의 분명한 해당행위가 있었지만 중앙당에 보고하지 않았다. 그렇지 않아도 상대후보 측에서 장흥·강진·영암지역을 서로 분열시키려는 책동이 있었는데 나까지 3개 군 지역을 서로 편 가르는 일에 끼어들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황 당선자는 “다만 당인으로서, 그리고 지역위원장으로서 선거 이후에도 계속해서 해당행위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당과 지역의 화합을 위해서도 어떤 제재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문제는 중앙당과 도당, 그리고 지역의 합리적인 여론에 따라 방도를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여운을 남겼다. ‘해당행위’를 한 군의원들의 납득할만한 해명도 필요할 뿐더러 차후 재발할 경우 제재할 수밖에 없다는 뜻으로 여겨진다.
일각에서는 이들의 해당행위에 대해 그동안 지역 국회의원 등과의 역학관계를 감안할 때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는 동정론도 있는가하면, 자당 소속 후보가 인신공격에 가까운 비난연설의 대상이 되고 있는 현장에 공개적으로 상대후보 지지를 표시한 것은 정치도의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많다. 탈당 후 무소속 지지를 했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다수 군의원들의 해당행위의 파장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조만간 현실화될 것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하반기 의장단 선거에도 적잖은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때문에 해당행위를 한 의원 중 한 의원은 황 당선자에게 ‘어쩔 수 없었다’고 재빨리 해명하고 나섰다는 소문도 나돈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