뿐만 아니다. 19개국 중 우리나라보다 부의 쏠림이 심한 나라는 미국뿐이었다. 미국의 상위 1%는 연 소득 33만5861달러(3억8300만원) 이상으로 전체 소득의 17.7%를 벌어들였다. 우리나라에 이어 3위는 영국(14.3%), 4위는 캐나다(13.3%)였다. 일본(9.2%)과 호주(8.8%)는 조사 국가 평균에 못 미쳤다. 우리나라에서 소득이 특정계층에 몰리는 이른바 ‘부의 쏠림’ 현상이 세계 최고 수준에 육박할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한 셈이다.
상위 1%의 구체적인 모습도 나왔다. 통계청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를 분석한 결과 상위 1%는 평균연령이 51.3세 남성으로, 연평균 3억3천728만원의 소득을 거뒀다. 직업은 주로 전문직(32.4%)이나 관리자(24.8%)로, 보유한 자산 총액은 평균 22억1352만원이었다. 자산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역시 부동산으로 74%를 차지했다.
사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소득불평등은 그리 심하지 않다는 지적이 지배적이었다. 실제로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지니계수(가처분소득 기준)는 0.315로 OECD 국가 평균(0.314) 수준이다. 이 때문에 그동안 우리의 소득불평등은 중간수준정도로 평가돼왔다.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는 이런 통념을 깬다. 뿐만 아니라 MB정부의 상위 1%에 대한 심각한 편향 때문에 소수의 잘사는 사람들과 다수의 못사는 사람들의 양극화 골이 더욱 깊어졌다는 주장에도 무게가 실리게 됐다. 소득불평등의 심각성을 본격적으로 제기하는 일인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분석이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