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출산 케이블카 반대주장 들어보니
검색 입력폼
 
자치/행정

월출산 케이블카 반대주장 들어보니

노선에 특별보호구역 등 계획 무관 내용 많아

사회단체들, “지역실정·정서 좀 더 고려해야”
국립공원 삭도(케이블카) 시범사업 대상 선정을 앞두고 열린 공청회 결과 월출산 국립공원 케이블카에 대한 환경단체들의 반대주장이 근거가 없거나 군의 설치계획과는 거리가 먼 내용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공원관리위원회는 지난 6월19일 과천 정부종합청사 국제회의실에서 ‘국립공원 삭도 시민·환경단체 2차 공청회’를 개최했다. 지난 5월21일 열린 공청회가 시민·환경단체의 참여저조로 추가로 열린 이날 공청회는 시범사업 노선선정에 시민·환경단체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월출산 국립공원과 관련해서는 광주·전남녹색연합 관계자 2명과 군 현종상 문화관광실장 등 2명이 토론자로 나서 1시간20분가량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에서 환경단체 관계자는 ‘산성대∼천황봉 간은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삭도설치가 정당한지’, ‘경제성 검증결과가 낮게 나왔는데 강행할 것인지’ 등을 묻고, ‘연장에 비해 지주가 6개로 환경파괴가 심각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월출산 국립공원 탐방객이 36만명인데 탑승객이 42만명으로 검토된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주장과 함께 ‘암반을 깎는 상부정거장 시공은 회복할 수 없는 환경파괴’라는 주장도 내놓았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월출산 케이블카는 영암읍 기(氣)체육공원∼산성대 주변 구간에 개설될 계획으로 특별보호구역이 없다”고 설명했다. 또 “월출산 케이블카의 상부정거장은 모두 암반인 상태가 아니며 더구나 암반을 깎지 않는 공법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탑승객 문제와 관련해 군 관계자는 “월출산을 탐방하는 사람만 케이블카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탑승객 검토는 탐방객과 관광객을 합쳐 하도록 되어 있다”고 반박했다.
군 관계자는 이밖에 경제성과 관련해서는 시범사업 대상 선정의 유일한 기준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으며, 지주가 6개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안전 확보를 위해 3∼400m간격으로 하도록 된 규정에 맞다’고 설명했다.
이날 공청회에 함께 참가한 영암지역사회단체 관계자는 “케이블카 개설에 따른 최소한의 환경파괴문제 외에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지적한 문제점 대부분은 영암군의 계획과는 상관없는 내용인 경우가 많았고, 심지어는 노선에 포함되지도 않은 장군봉을 거론하거나 상부정거장이 암반으로 되어 있는지 흙으로 되어 있는지조차도 모르면서 문제를 지적한 경우도 있는 것 같았다”면서 이는 “환경단체가 영암에서 활동하지 않고 멀리 광주나 목포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쓰레기 문제 등을 거론하며 환경문제를 걱정하는 취지에는 우리지역 사회단체들도 공감하는 바다”면서 “좀 더 진지한 토론이 되려면 적어도 월출산 국립공원에 대해 샅샅이 알아야하고, 더구나 케이블카 개설계획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분석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매우 아쉽다. 이런 상태라면 영암군민의 80%가 찬성하는 케이블카를 무조건 반대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