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대 영암군의회 후반기 의장단이 꾸려졌다. 외견상 그 어느 선거보다 공정하고 차분하게 치러진 듯 보인다. 하지만 다수 군민들의 상실감과 실망감은 매우 크다. 온갖 의혹이 난무했을 뿐 아니라 의원들 간 이합집산이나 합종연횡의 모양새는 서로 감투를 차지하기 위한 이전투구(泥田鬪狗)의 양상,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특히 김연일 의장이 선거기간 내내 의혹으로 제기되었던 ‘군의원이면서 주소만 영암에 두고 실제로는 목포에서 살고 있다’는 설에 대해 “사실이다”고 확인한데 대해서는 군민들이 할 말을 잃는다. 영암에 실제 살지도 않은 이가 영암군의원이었다는 사실이 도무지 믿기질 않기 때문이다. 후반기 의장선거와 관련해 우리가 기대했던 것은 깨끗한 선거였다. 정정당당한 선거였다. 역대 의장단 선거가 끝날 때마다 숱한 의혹을 남겼기 때문에 이번만큼은 불편한 과거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는 바람에서였다. 하지만 기대와 바람은 여지없이 물거품이 됐다. 역대 선거와 똑같은 의혹이 난무했고, 군청과 의회 홈페이지를 도배질하기까지 했다. 김 의장의 주민등록법 위반사실 역시 그런 의혹의 중심에 있었고, 본인이 사실임을 확인했다. 이는 깨끗한 선거완 무관한 일일지는 몰라도 정정당당함과는 거리가 먼 일이다.
영암군 공직자들 중 주소만 영암이고 실제로는 광주 등 도시에서 살고 있는 이들이 상당수임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군의원은 공무원과 다르다. 엄연히 자신의 지역구가 있다. 선거법상 실제 주소지에 거주해야 피선거권이 있다. 자식의 교육문제 때문이라는 해명은 그가 군의원의 신분인 이상 변명에 불과하다. 김 의장은 당선 직후 미리 준비한 인사말을 통해 “소통하고 화합하며 봉사와 섬김의 의장이 되겠다”고 했다. 그러려면 자신의 허물부터 진정으로 용서를 구하고 참회해야 한다. 지금 우리사회가 옳고 그름을 제대로 분간하기 어려운 난세여서 그렇지 도덕적 잣대가 바로 선 곳이라면 의원 신분까지도 문제 삼을 일임을 명심하길 바란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