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장단 선거 때 다시 뭉친 4·11총선 당시 해당행위 한 다섯 의원들이 상임위원장 선출과정에 보여준 꿋꿋함은 소름 돋을 정도였다. 유영란 의원은 처음부터 끝까지 의석에 앉은 채 기권했다. 김철호, 이보라미 의원도 무효표를 던지다 그 강도를 높여 의석에 앉은 채 기권했다. 하지만 다섯 의원들은 사전에 모여 정해놓은 대로 상임위원장을 선출했다. 세 의원이 행사한 무효표나 기권이 어떤 항의의 뜻인지 잘 알고 있었을 이들이지만 애써 태연하게 미리 정해진 이름을 써냈다. 소통과 화합한다던 의장은 “찬성 5표”를 기다렸다는 듯 외쳤다.
상임위원장 선출에 앞서 세 의원이 낸 의사일정 변경안은 다섯 의원이 미리 정한 상임위원장에 대한 반대의 뜻만 담겨있다고 보아선 안 될 사안이었다. 의장을 만들어준데 대한 보은(報恩)의 뜻으로 정해놓은 상임위원장 선임에 나머지 셋에게도 공감할 기회를 달라는 뜻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마저도 다수결로 짓뭉갠 의장의 결정은 ‘소통하고 화합하는 봉사와 섬김의 의장’이 할 일이 아니었다. 다수결은 민주주의를 꾸려가는 중요한 원칙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원칙은 소수에 대한 존중이다. 영암군의회 후반기 원 구성 과정에는 이것이 빠져 있다. 후반기 의정활동이 걱정되는 큰 이유이기도 하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