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객 5만여명이 찾은 ‘2025 영암무화과축제’
검색 입력폼
 
사설

방문객 5만여명이 찾은 ‘2025 영암무화과축제’

‘2025 영암무화과축제’가 9월 5일부터 7일까지 전남농업박물관 일원에서 열려 5만여명의 방문객이 찾는 등 성황을 이뤘다 한다. 축제를 주관한 삼호읍문예체육행사추진위원회는 이번 축제에서 ‘입 안 가득 달달! 신나는 무화과 파티!’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대한민국 무화과의 시배지이자 전국 최대 주산지인 영암의 위상을 알리는데 주력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형 무화과 모형 포토 존, 무화과 홍보 전시관, 직거래 판매장 등을 운영하며 신선한 생과와 다양한 가공품도 소개했다. 무화과 머핀, 라떼, 곤약 젤리, 잼 등 이색 상품들은 방문객들의 눈길과 입맛을 끌었다 한다. 또 어린이 그림 그리기 대회, 무화과 가요제, 전통문화체험, 키즈존 프로그램, 농부장터와 플리마켓 등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행사도 마련되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설명이다.

무화과축제는 지난 1997년부터 7차례 가량 개최되어오다 중단된 바 있다. 민선6기 들어서인 지난 2015년 축제를 다시 개최하기 시작해 지금에 이른다. 한때 무화과 재배농민들을 중심으로 축제추진위원회를 결성해 행사를 다시 열면서 많은 방문객들이 찾는 등 성공가능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무화과축제는 개최할 때마다 늘 아쉬움이 남았다. 어떤 때는 “이대로는 경제성이 없다”는 비판과 함께 “이름만 빼고 모두 바꿔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올 축제 역시 성황을 이루기는 했으나, 축제의 주제가 과연 ‘무화과’였는지 다시 생각해보게 만들었다. 차라리 ‘무화과 가요제’라고 이름 붙여야 될 정도로, 트로트 가수 박서진을 비롯한 초대가수들의 팬이 사실상 방문객의 전부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무화과를 주제로 한 콘텐츠가 거의 없어 방문객들 입에서는 “무화과축제인지 가요제인지 헷갈린다”는 지적까지 나왔다니 정말 아쉬운 일이다.

특산물을 소재로 축제를 개최하는 목적은 해당 특산물의 인지도를 높여 소비를 촉진하고 재배농민들의 소득증대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다. 무화과축제 역시 영암군의 대표 작물이자 지리적표시제 제43호로 지정된 ‘영암무화과’의 우수성을 전국에 알리고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재배농민들의 소득증대와 부가가치를 창출하자는 취지다. 그렇다면 축제에서는 영암무화과가 전국 대표 작목임을 보여주는 콘텐츠에 적극 신경 썼어야 했다. 무화과 생과 뿐 아니라 다양한 부가가치 상품 홍보는 물론, 재배신기술 등을 소개하는 학술대회 개최도 필요했다. 초대가수 공연이 불필요하단 뜻은 아니다. 부대행사여야 한다는 의미다. 특정가수 팬이 축제 방문객의 거의 전부라면 문제가 있다. 이런 축제여선 경쟁력이 없다. 축제의 주체는 재배농민이어야 함도 상기하는 바이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키워드 : 2025 영암무화과축제 | 방문객 5만여명 | 콘텐츠가 거의 없어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