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계획도 제시된 모양이다. 통일성 없이 어지러운 분위기의 입간판도 정비하고, 외국인 특화거리라는 개념에 맞는 조명 등 경관을 개선하며, 여러 거리 행사를 위한 데크(Deck) 길도 조성한다는 것이다. 특히 외국인 주민의 타 지역 유출을 방지하고 방문객 유입과 체류시간을 늘려 관광객 유치와 외국인 주민의 경제 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다문화 상점 창업 지원과 축제 개최, 플리마켓 상시운영 등의 방안도 내놓았다. 민선8기 들어 영암군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니만큼 성공적으로 진행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다만 외국인 특화거리 조성 사업이 무슨 ‘극비’인양 추진되는 모양새는 매우 아쉬운 일이다. 용역보고서도 언론에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타당성이나 가능성을 제대로 따지지 않는 일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삼호산단과 대불산단이 자리한 삼호읍이니 외국인 근로자가 많을 수밖에 없다. 반면 이들을 ‘외국인 주민’으로 부르기가 망설여지는 것도 사실이다. 이들을 겨냥한 특화거리를 만들 정도로 ‘다양한 수요’를 가졌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더 꺼림칙한 일은 영암군이 벤치마킹한 곳이 광주 동구의 '아시아음식문화거리'라는 사실이다. 의욕적으로 조성했으나 이용률 저조로 애물단지가 됐기 때문이다. 전국 곳곳의 다문화거리가 마찬가지 상황이다. 단순히 외국인이 많다고 외국인 특화거리를 만들어선 실패는 뻔한 것이다. 외국인이 많고 적음보다 어떤 특성과 수요를 가졌는지 면밀히 분석하고 타당성을 따지는 일이 중요하다.
민선8기 들어 영암군은 타 지자체가 실패했거나 사양길에 접어든 사업에만 매달리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잦다. 수제맥주 사업이 그렇고, 외국인 특화거리도 마찬가지다. 광주시를 벤치마킹하려면 구 시청 사거리보다 광산구 고려인마을을 찾았어야 옳다. 용역보고서가 나왔으면 당연히 언론에 알리고 주민들이 참여하는 공론의 장을 만들어 검증해야 한다. 그래야 혈세 낭비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