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르면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뿐 아니라 등록외국인, 그리고 월1회 이상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통근자 및 관광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영암군에 주소를 두지 않더라도 체류 등을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현실적 인구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행정안전부의 지난해 4분기 생활인구 통계를 보면 영암군은 10월 28만6천여명, 11월 29만3천여명, 12월 24만2천여명 등으로, 3개월 평균 27만4천여명에 달해 담양, 화순, 장성, 해남에 이어 전남에서 다섯 번째로 많았다. 영암군이 생활인구 강세지역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통계자료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영암군의 생활인구 유입은 축제나 농번기, 관광 등 계절적인 요소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다. 실제 영암군 생활인구의 평균 체류시간은 11.6시간, 체류일수는 3.4일, 숙박일수는 4.4일, 재방문율은 49.3%에 달했다. 단순 방문을 넘어 일정기간 거주 또는 체험 활동을 이어가는 인구가 많았다. 다름 아닌 산단 근무자, 농번기 계절근로자, 외국인 노동자 유입 등이 활발하다는 얘기다. 생활인구의 규모 즉 ‘양’은 많으나 ‘질’은 낮다는 예기다. 보다 주도면밀한 생활인구 유입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영암군이 안정적 생활인구의 유입을 위해 ‘가보고 싶은, 머물고 싶은, 살고 싶은 영암’을 기치로 ‘단계적 생활인구 전환 전략’을 세워 추진하려는 것은 바로 생활인구의 질을 높이려는 전략일 것이다. 관광·축제의 활성화, 농촌 체류형 쉼터와 워케이션센터 조성, 정주인구 유치전략 병행 추진 등이 주요 정책이나, 좀 더 세밀하고 과감해야 할 것 같다. 단적으로 한여름에 찾을 영암군의 관광지는 氣찬랜드뿐인 것이 영암의 현실이다. 계획을 세웠으면 실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