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地産地消 그린시티100’에 거는 기대
검색 입력폼
 
사설

‘에너지 地産地消 그린시티100’에 거는 기대

영암군이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했다. 삼호읍에 자리한 대불국가산업단지 일원을 ▲신재생에너지 허브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 ▲에너지자립 그린시티 등으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새로 출범한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이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선도 전략에 부응한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100%로 제품을 생산하는 ‘RE100’의 세계적 확산, 국내 산업계의 RE100 수요 증가 등을 감안해 ‘RE100 특별법’ 제정 기조를 발표한 바 있다. RE100 산단 기업 유치와 에너지 신도시를 촉진하기 위해 입주기업 규제 제로 및 전기요금 할인 차등제 도입, 교육·정주 여건 파격 개선 등을 이 법에 담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 담겼다. 영암군은 새 정부의 이런 정책기조에 발맞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영암군이 밝힌 프로젝트의 첫 번째 축은 ‘신재생에너지 허브 구축’이다. 미암면과 삼호읍 일대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고, 2030년까지 610㎽규모의 영암호 수상태양광과 1천500㎽의 염해간척지 태양광단지를 완공, 대불산단에 직접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2035년까지 RE100 산단 실현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두 번째 축은 대불산단을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로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조선업 기반의 대불산단을 해상풍력 기자재 생산거점으로 전환함으로서 수입의존도가 높은 해상풍력 부품을 국산화해 산단의 구조 전환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언급한 두 전략을 토대로 ‘에너지자립형 신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이 세 번째 골자이다. 새 정부의 지역공약인 대한외국인 행복도시와 연계해 교육 문화 상업 기능이 융합된 복합도시 조성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나불도 일대를 지방 이민청 신설, 국제학교 설립 등을 통해 관광·숙박·전시 공간으로, 인접 산호리 일대를 교육·의료 및 주거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도 담겨있다.

우승희 군수는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하면서 “영암군이 RE100사업의 중심이 돼 가장 먼저 (대불산단) RE100 산단을 실현하고 대한민국 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겠다”고 선언했다. 새 정부 정책 구상에 맞물려있는 만큼 이의 실현에 거는 기대는 크다. 하지만 RE100 산단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따른 첫 대상지로 전남 서남권이 유력한 것은 사실이나, 구체적으론 ‘솔라시도’, 특히 해남군이 최적입지로 거론되고 있는 점은 우려할 일이다. 타 지자체에 비해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점도 걱정이다. 미암면과 삼호읍의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갈등요소가 여전하다는 점도 선결과제일 것이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키워드 : RE100 | 신재생에너지 허브 구축 | 영암군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