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이 밝힌 프로젝트의 첫 번째 축은 ‘신재생에너지 허브 구축’이다. 미암면과 삼호읍 일대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고, 2030년까지 610㎽규모의 영암호 수상태양광과 1천500㎽의 염해간척지 태양광단지를 완공, 대불산단에 직접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2035년까지 RE100 산단 실현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두 번째 축은 대불산단을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로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조선업 기반의 대불산단을 해상풍력 기자재 생산거점으로 전환함으로서 수입의존도가 높은 해상풍력 부품을 국산화해 산단의 구조 전환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언급한 두 전략을 토대로 ‘에너지자립형 신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이 세 번째 골자이다. 새 정부의 지역공약인 대한외국인 행복도시와 연계해 교육 문화 상업 기능이 융합된 복합도시 조성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나불도 일대를 지방 이민청 신설, 국제학교 설립 등을 통해 관광·숙박·전시 공간으로, 인접 산호리 일대를 교육·의료 및 주거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도 담겨있다.
우승희 군수는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하면서 “영암군이 RE100사업의 중심이 돼 가장 먼저 (대불산단) RE100 산단을 실현하고 대한민국 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겠다”고 선언했다. 새 정부 정책 구상에 맞물려있는 만큼 이의 실현에 거는 기대는 크다. 하지만 RE100 산단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따른 첫 대상지로 전남 서남권이 유력한 것은 사실이나, 구체적으론 ‘솔라시도’, 특히 해남군이 최적입지로 거론되고 있는 점은 우려할 일이다. 타 지자체에 비해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점도 걱정이다. 미암면과 삼호읍의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갈등요소가 여전하다는 점도 선결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