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문화재연구소는 이번 2차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석곽 해체 후 1호 석실의 개석을 들어내는 과정에서 금동관 세움장식(금동관편)과 유공광구소호, 광구호, 다량의 구슬이 출토됐다고 설명했다.


전남문화재연구소는 또 출토된 금동관 외관장식으로 볼때 고대 최고 수장층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추가적인 조사와 2호분 조사를 병행하거나 순차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주구조사도 계속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석실 토기는 완, 장경소호, 유공광구소호, 개배 등으로 기종의 구성이나 형태에서 5세기 후엽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사진=영암군청 강평기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