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의 역사와 문화 자원을 바탕으로 창작 활동을 이어온 예술단체 더현음재가 2025년 상주단체 창작·초연작품을 공개한다. 올해 공연의 핵심은 산조의 시조 김창조 선생 서거 13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창작 가락극 〈김창조 흩어진 가락〉으로, 김창조 선생의 예술혼을 기리고 영암이 지닌 음악적 뿌리와 지역 문화 정체성을 새로운 무대 언어로 풀어낸 작품이다. 더현음재는 그동안 영암 곳곳의 문화 사료를 발굴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 왔다. 이번 공연은 이러한 노력의 결정체로, 지역의 원형적 문화 자산을 예술 작품으로 ...
문화/생활 이승범 기자2025. 11.21영암성대첩기념사업회(회장 이순오)는 6월 23일 동무지구 내 달맞이공원에서 제470주년 영암성대첩 기념식을 개최했다. 을묘왜변(1555년)에 일어난 영암성대첩을 기념해 진행된 이날 기념식은 우리 조상들의 충효 정신을 계승하고 영암의 역사에 대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됐다. 영암성대첩 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영암군과 영암군의회가 후원한 가운데 개최된 이날 기념식에는 우승희 군수와 박종대 의장, 군의원, 신승철 도의원, 김광수 영암교육장, 이정훈 영암문화원장, 이봉영 영암군체육회장을 비롯한 사업회 관계자 등 100여명이 ...
문화/생활 이승범 기자2025. 06.275월 25일 순찰사 이준경이 영암성 지원을 명하자 원래 영암에 있어야 했던 남치근은 그제야 남평을 떠나 영원(현 영암군 여운재 부근으로 추정)에서 왜구를 만나 접전을 벌이다가 창흘원(昌屹院-현 영산포)에서 유숙하고, 전라병사 조안국은 신북 모산리에서 적을 수색한다며 지체한 후, 두 부대는 영암성 전투가 끝난 5월 26일이 되어서야 영암성에 도착하였다. 관찰사 김주가 광주목사 이희손(李希孫), 강진현감 홍언성(洪彦誠), 나주판관 김기(金錡), 전 부사(府使) 박민제(朴敏齊), 마량첨사 홍수양(洪守讓) 등에게 함께 강진현을 지키도록 ...
칼럼 영암군민신문2024. 07.18영암성대첩기념사업회(회장 이순오)는 6월 23일 氣찬랜드 내 가야금산조기념관 공연장에서 제469주년 영암성대첩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은 1555년 영암성대첩 이후 군민들에 의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됐다. 영암성대첩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영암군과 영암군의회가 후원한 가운데 개최된 이날 기념식에는 우승희 군수와 신승철, 손남일 도의원, 정운갑 군의원, 이정훈 영암문화원장 당선자를 비롯한 사업회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영암성대첩의 역사적 의의를 되새겼다. 이날 행사에서는 영암지역 출신의 문치빈 무...
문화/생활 이승범 기자2024. 06.27제2회 조선 최초의 의병장 양달사 장군 학술세미나가 지난 6월 10일 영암교육지원청 시청각실에서 양달사현창사업회(회장 장만채) 주최로 열렸다. 이날 학술대회는 제1부 개회식에 이어 제2부 학술대회가 열려 전남대 역사학과 김병인 교수를 좌장으로, 호남의병연구소 노기욱 소장의 ‘의병의 사표 양달사 장군의 의병 활동과 영암 의병 활동의 계승’, 전남대 문화유산연구소 정현창 전임연구원의 ‘영암지역 왜구 침입 경로와 영암 선소의 중요성’, 양달사현창사업회 이영현 사무국장의 ‘영암성대첩 기념사업 추진 방안’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주제발표에 이어서는 영암문화원 김한남 원장과 김용철 전 동경대 연구원, 박일훈 전 초당대 교수 등이 참여해 질의 및 종합토론도 있었다. 이번 학술대회 주제발표문 가운데 두편의 발표문의 주요내용...
지역사회 영암군민신문2022. 06.17- 양달사현창사업회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양달사현창사업회부터 소개해달라. ▲ 양달사현창사업회는 1555년 5월 25일 영암성 대첩에서 영암군민과 함께 6천여 왜구를 물리친 조선 최초 의병장 양달사 장군의 호국정신을 널리 알리고 영암군민의 자긍심을 고양시키기 위한 비영리 민간단체입니다. 회장은 장만채 전 전남도교육감이 맡고 있고. 정회원이 전국적으로 230명 정도 됩니다. 2019년 9월 25일 창립총회에서 매년 5월 25일 영암성 대첩일에 기념식을 갖기로 하였으나, 코로나19 관계로 올해까지는 이사회로 갈음하기로 했...
기획특집 이춘성 기자2022. 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