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지난해 4월에는 영암군과 투자협약을 체결한 ㈜신한에어가 미암면에 둥지를 틀고 경비행기 조종면허실습과 항공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지난 2월에는 영암군과 세한대학교, ㈜나라항공기술이 드론사업 관련 산·학·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항공학과에 드론과목을 신설하고, 드론 조종면허취득을 위한 이론 및 실습교육, 시설과 장비, 강사 등을 지원하며, 사업투자와 연구과제 발굴, 드론 관련 지역전략사업 유치를 위한 포괄적 교류에 적극 협력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지난 3월에는 경북 구미시의 경운대학교와 섬 관광 항공 산업 육성 발전을 위해 81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연내에 영암군 관내에 경비행기 활주로를 개설하고, 영암읍 동무지구에 기숙사를 건립하는 등 투자를 약속했다.
전 군수는 "드론·항공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유치한 연관 사업들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영암군은 향후 1~2년 내에 영암읍내에 젊은 층 인구가 최소 250여명이 상시 체류 및 상주하게 되는 등 영암읍 지역경제에 큰 활력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뿐만 아니라"영암군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드론과 경비행기 조종면허를 한 곳에서 취득할 수 있는 지역이 되어 전국 제일의 드론, 경비행기 오퍼레이터 양성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또 드론을 이용한 방제, 촬영, 감시 등 다양한 산업과 전남도 섬 관광 항공 산업 등 새로운 형태의 드론·항공 산업 활성화로 영암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 군수가 영암군의 새 성장동력으로 구상하고 있는 드론·항공 산업은 정부의 '규제 프리존' 정책과 맞물려 전남도가 지역전략산업으로 선정해놓고 있다. 영암군만이 아니라 전국의 많은 지자체들이 눈독을 들이는 분야라는 뜻이다. 따라서 전 군수의 구상이 조기에 실현되려면 이미 유치해놓은 연관 사업을 차질 없이 실행에 옮기는 일이 중요하다. 투자협약이 구체적인 투자로 실행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적극 지원해야 하는 것이다. 차제에 드론·항공 산업 전담팀을 꾸려 연관 사업을 적극 유치하고 지원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도 고려해볼 일이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