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특별전시는 종가에서 대대로 사용한 옹기를 소재로 한 전시다.
전시에 참여한 종가는 전남의 서남부 지역에 위치한 영암, 나주, 보성, 영광, 장흥, 해남군 등 6개 지역 10개 종가와 전통을 계승하는 옹기공방 3곳이 참여한다.
최근 전통문화의 진수를 간직한 종가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그 생활도구인 옹기는 숨 쉬는 기능이나 방부성 등 우수성이 밝혀지면서 그 가치가 점점 부각되고 있다.

도기박물관 김규화 학예연구사는 "종가에서 주로 사용한 옹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전라도 옹기의 특성을 보여주는 어깨가 넓고 풍만한 기형이 많다. 따라서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어 종가와 같이 큰살림을 꾸리는데 긴요한 생활용기로 활용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영암은 국내 최초의 고화도 유약도기의 고장으로, 옹기는 구림도기와 같은 재를 원료로 한 잿물을 유약으로 활용했다"면서, "다시 말하면, 옹기는 도기의 제작기법을 바탕으로 유약을 접목함으로써 기술적 예술적 완성도를 높인 그릇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