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국회의원 총선거의 공식선거운동이 3월29일 0시를 기해 시작, 총선 전날인 4월10일 자정까지 13일간 본격적인 유세전에 들어갔다.
장흥·강진·영암선거구에서도 새누리당 전평진(50) 후보, 민주통합당 황주홍(60) 후보, 통합진보당 박형기(57) 후보와 무소속의 유인학(72), 김태형(56) 후보 등 모두 5명의 후보들이 치열한 표밭갈이에 나섰다.
특히 이들 후보들은 유권자와 지역개발을 위한 나름의 정책·공약을 제시하며 표심잡기에 나섰으나 상당수의 정책·공약들이 기존 계획을 베껴놓은 것이거나 실현가능성이 없는 경우도 많아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당·정책 정보시스템에 게재된 후보자 공약을 분석한 결과 민주통합당 황주홍 후보는 농정입법시대 개막, 농어촌교육특별법 제정, 토착적 복지모델 개발, 지역개발, 정치개혁 등 5대 분야에 걸친 정책·공약제시와 함께 추진기한과 예산추계 및 재원조달방안까지 상세하게 공개했다. 황 후보의 정책·공약 가운데서는 국회의원 임기 3선 제한, 일하지 않은 국회의원 급여 삭감, 기초단체 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및 기초지방의원 소선구제 환원 등 정치개혁부문 정책·공약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공약사업 상당수가 이미 추진 중에 있어 이를 보완한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과 함께, 예산추계 및 재원조달방안 대부분이 ‘국비’위주여서 실현가능성이 다소 의문이었다.
통합진보당 박형기 후보는 한미FTA 폐기 및 한중FTA 협상중단, 반값농자재 실현 및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 실시, 비정규직 철폐, 아이들 잘 키우고 어르신 잘 모시는 사회 구현, 중소상인 보호 등 5대 분야에 걸친 정책·공약을 제시했다. 박 후보 역시 예산추계 및 재원조달방안까지 상세하게 공개했다. 하지만 박 후보의 정책·공약은 통합진보당이 당 차원에서 마련한 공약 그대로로 농어민과 서민,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점이 돋보였으나, 장흥·강진·영암선거구에 한정된 정책·공약은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무소속 유인학 후보는 한미FTA발효에 따른 농어촌 투자 특별법 제정, J프로젝트 활성화와 영암인구 10만명 시 승격, 지역 축제 탈바꿈, 성화대학에 세계적 명문대학 분교 유치, 국제문화관광자유지역 설치 특별법 제정 등의 정책·공약을 제시했다.
유 후보는 무엇보다 장흥·강진·영암선거구에 직접 연관된 정책과 사업들을 제시한 점은 돋보였으나 예산추계 및 재원조달방안은 밝히지 않아 사업 나열식 정책·공약 제시라는 비판이 가능했다. 또 이 때문에 다수의 사업들이 실현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무소속 김태형 후보는 공약이라기보다는 제도개선에 가까운 제안을 내놓았다. 공직선거법, 지방공무원법, 고속국도법을 ‘3대 악법’으로 규정했으며, KTX 제주-목포 해저터널 타당성 조사용역을 중단하고 나주-월출산-강진-완도-제주 해저터널 타당성 조사로 대체해야 한다는 ‘기발한’ 제안도 내놓았다.
새누리당의 전평진 후보는 ‘F1 경기장 운영비 국비 전액 지원’과 ‘청정해역 사수 입법화’ 등 제목만 제시해 아쉬움을 샀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