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굴 둠벙과 잠사골 샘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썩굴 둠벙과 잠사골 샘

한국 뉴스에서 모 심는 장면을 보았다. 어릴 적 농사지을 때의 일이 생각나고, 썩굴 둠벙과 잠사골 샘이 함께 떠올랐다.
썩굴은 고향의 골짜기 이름인데 그 곳에 우리 논 다섯 마지기가 있었다. 하늘만 쳐다보는 천수답이었다. 맨 위쪽에 논배미들을 먹여 살리는 제법 큰 둠벙이 있었다.
가뭄이 극심했던 어느 해, 못자리 할 때부터 둠벙물을 퍼 쓰기 시작했다. 모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물만으로도 하루 한 뼘 이상씩 물이 줄어들었다.
어머니와 나는 두레로 물을 품었다. 두레질은 농사 경험이 없는 어머니와 중학을 갓 졸업한 어린 나에게 만만한 일이 아니었다. 한 동이 정도의 물을 두레에 끈을 매달아 퍼 올린다는 게 쉽지 않았다. 물이 깊어지면서 한 두레를 품어 올리기도 힘이 들었다. 두레를 따라 둠벙으로 끌려들어갈 뻔 한 적도 있었다. 견디기 어려운 일을 견뎌내야만 했다.
가뭄이 길어지면서 둠벙 물이 바닥을 보이자 모가 타들어갔다. 내 가슴도 그렇게 쩍쩍 갈라지고 타들었다. 하는 수 없이 호미모를 심었다. 물 한 바가지에 모 한 포기를 심는 작업이었다. 그러기를 며칠 했지만 이번에는 심어놓은 모가 말라비틀어졌다. 결국 논을 갈아엎어 메밀 씨를 뿌려버렸다.
신문은 몇 십 년만의 한해라며 떠들어 대고 있었다. 그런 혹독한 가뭄에도 잠사골에 있는 논은 끄덕 없었다. 자그마한 샘 때문이었다. 썩굴 둠벙의 십 분의 일도 되지 않는 작은 들 샘이었지만, 퍼내고 퍼내도 금시 물이 고였다. 겨울이면 멀리서도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웃 논에서 물이 필요하다면 퍼다 쓰도록 했다.
그 해 잠사골 논은 평년작 이상의 수확을 했다. 잠사골 논이 없었다면 우리 식구 먹을 식량마저 마련하지 못할 뻔 했다. 가뭄이 들어서야 잠사골 샘의 진가를 깨닫게 되었다.
물이 없으면 논이란 게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는 사실을 가뭄을 통해 뼈저리게 체험했다. 헤쳐 가야할 내 삶의 논바닥에 물처럼 절실한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게 무엇인지 딱 잡히진 않았지만, 책 속에 길이 있을 것 같았다. 책을 사볼만한 처지는 못 되고, 닥치는 대로 빌려다 읽기 시작했다. 시골동네라 읽을 만한 책이 금방 동이 났다. 이웃 마을은 물론 읍내 아는 집에서도 책을 빌려왔다.
낮에 농사일을 하고 밤에 졸리는 눈으로 책을 보았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던 시골이라 호롱불을 켜고 책을 읽었다.
4년 동안 농사를 지었지만 달라진 게 없었다. 앞이 보이지 않았다. 늦었지만 스물한 살 나이에 고등학교를 진학하기로 결심했다. 광주에 있는 야간 학교에 입학원서를 냈다. 그렇게 새 길을 걷게 되었다.
살아가면서 이따끔 잠삭골 샘을 떠올린다. 비가 많은 해는 썩굴 둠벙이나 잠삭골 샘이 차이가 없지만, 가뭄 때문에 잠사골 샘의 가치를 알게 된 일을 기억한다. 나는 누구에게 잠사골 샘 같은 사람이 되고 있는가를 반추해보곤 한다. 내 삶의 논바닥을 촉촉이 적셔줄 마르지 않은 작은 샘, 잠사골 샘 같은 친구가 그립기도 하다.
모내기 하는 뉴스를 보면서, 물이 없어 모를 심지 못하고 메밀 씨를 뿌렸던 때가 다시 생각난다. 농촌에 수로가 완비되었다니 이제 전설 같은 얘기가 되어버렸다. 지금도 잠사골에 가면 김나는 샘을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