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은 되고, 영암은 안 되는 1인 반값여행…실효성 논란
검색 입력폼
 
문화/생활

강진은 되고, 영암은 안 되는 1인 반값여행…실효성 논란

지역경제 살리기 같은 목표, 접근 방식은 ‘상이’
‘혼자 여행’ 증가에도 트렌드 반영 못 한 영암군
제약 및 높은 기준 등 제도 보완책 마련 절실

강진군의 ‘반값여행’이 관광객들의 호평을 받으며 지역관광의 성공 모델로 자리 잡은 가운데, 영암군이 비슷한 취지의 여행 지원사업인 ‘원플러스원(1+1) 여행’을 도입했지만, 1인 여행객은 참여가 불가능해 제한적인 제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강진군은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여행 경비의 50%를 지역화폐로 환급해주는 ‘강진 누구나 반값여행’ 제도를 운영 중이다. 단순한 여행 경비 지원을 넘어 환급을 지역상품권으로 지급해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고 재방문을 유도하는 등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소비 위축 문제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진반값 여행은 이름 그대로 강진을 여행하면 여행 비용의 절반을 강진사랑상품권으로 되돌려주는 사업이다. 신분증 인증으로 사전 신청 후 관광지를 방문하고 영수증을 제출하면 환급이 이뤄진다.

이 제도는 올해 상반기 전남 적극행정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우수성을 인정받아 인근 지자체를 비롯해 경남 하동군, 경북 상주시, 전북 전주시 등 전국에서 벤치마킹을 위한 방문과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 같은 성공 사례를 의식한 듯, 영암군도 지난 7월 말부터 ‘영암 원플러스원 여행’ 사업을 시작했다. ‘한 번 오고 또 한 번 오라’는 의미를 담은 영암 원플러스원 사업은 2인 이상이 영암군에 1회 방문해 10만원 이상 지출하면 5만원을, 2회 방문 시 7만원, 3회 방문시 10만원을 월출페이로 환급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강진군의 제도와 달리, 영암군은 2인 이상이 함께 여행해야만 혜택을 바들 수 있다. 강진군이 1인 여행객도 환급 대상에 포함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최근 확산되고 있는 1인 여행 트렌드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구조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늘어난 ‘혼자 여행하기’는 하나의 확립된 여행 방식으로 자리 잡았고,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영암군의 여행 지원사업은 이 같은 수요를 배제하고 있어, 시대 흐름을 읽지 못한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영암군 관계자는 “영암 원플러스원 사업은 관광형 생활인구를 늘리기 위해 추진된 사업으로, 보다 많은 인구 유입을 위해 기본 신청 인원을 2인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관광형 생활인구를 확대하려는 취지라면 오히려 1인 여행객까지 수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반론도 있다.

또한 환급 조건도 강진군은 1인 3만원, 2인 이상 5만원 이상 소비시 가능하지만 영암군의 최소 10만원 이상 지출해야 한다. 이에 숙박 없이 당일 여행만 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불만이 제기된다.

한 지역 주민은 “강진과 영암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만큼 경쟁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조건 차이가 이렇게 크면 나 같아도 강진군을 선택하겠다. 또 원플러스원 사업은 예산 소진 시까지 운영한다고 돼 있어 언제 종료될지 모르는 점도 관광객 입장에서는 부담”이라며 “선진지 벤치마킹을 하면 해당 사업의 장점은 살리고 미진한 부분은 보완해야 하는데, 되려 제약이 더 늘어난 것 같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결국 두 제도는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같은 목적을 지녔지만, 참여 대상의 폭과 제도 설계의 유연성, 소비자 친화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강진군은 포용성과 편의성을 내세워 성과를 쌓고 있는 반면, 영암군의 원플러스원 여행은 대상 제한 등으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승우 기자 yanews@hanmail.net
키워드 : 영암군 | 실효성 논란 | 영암 원플러스원 여행

오늘의 인기기사